온라인상담

지표는 부정적, 장기채는 하락! 달러 하락! 상호관세 연장, 라인메탈 추세 전환 급등! 6월 27일 장전 시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HELLO 등록일25-10-14 05:04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지표는 저렴한상조 부정적, 장기채는 하락! 달러 하락! 상호관세 연장, 라인메탈 추세 전환 급등! 6월 27일 장전 시황





# 미국 시장 이야기

1. 美 1분기 성장률 -0.5%…소비 위축·관세 여파로 경기 제동
美 1분기 GDP 성장률 –0.5%...3년만 역성장
美 1분기 성장률 확정치 -0.5%…잠정치서 0.3%p↓

2. 미국 경제 ‘빨간등’…GDP 급감에 무역적자, 장기 실업 늘어

3. 美 5월 상품수지 적자 11% 증가…예상 밖 수출 감소

4. 美 신규 실업수당 청구 1만건↓…계속 청구는 3년7개월만 최대
美 계속 실업수당 청구자 3년 반 만에 최고점 찍었다

5. JP모간 "美경제 하반기 둔화"…관세發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지표는 부정적인 것이 많습니다.
성장률도 역성장. 상품수지는 적자는 11% 증가, 계속 실업 수당 청구는 3년 반 만에 최고치고요. 그럼 지수가 내려야죠? 아닙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저렴한상조 반영되면서 10년물 국채가 –1.1%까지 내려옵니다.

1. 샌프란 연은 총재 “관세 영향 제한적이면 가을 금리 인하 가능”

2. 보스턴 연은 총재 “7월 금리 인하, 시기상조일 듯”
“더 많은 정보 보고 결정하는 게 바람직”
“올해 후반 금리인하..한차례 이상될 것”

3. 콜린스 총재 “7월 금리인하 너무 빨라”…연준, 의견 불일치 확대
경제 지표 몇 개월 치 더 봐야
관세 영향 판단하기 아직 너무 일러/연준 내 금리 인하 의견 점점 갈려
보먼·월러 7월 인하 주장하는 반면/ 콜린스·파월·바킨 등 신중론 강조
출처 :

연은 총재들 입장이 다 다르네요. 7월에도 가능하다. 아니다.
아닌데 하반기에는 할 것 같다. 혼란합니다.
트럼프가 파월 흔들기를 심하게 할수록 연준 인사 발언 차별화는 더 심할 것 같고요.

1. 美 장기국채 펀드서 '자금 저렴한상조 탈출'&hellip2분기에만 110억弗 빠져나가
2분기 장기국채 펀드 자금 유출...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
트럼프 '초대형 감세법안'이 불붙인 우려
단기채엔 자금 몰려&hellip"국채 시장이 끝난 건 아니다"


2. 美 장기채 ETF, 바닥론 '솔솔'
6월 4조원 순유출에도 '매수 기회'
월가 "늦어도 9월엔 금리 낮출 것"


2분기는 미국 국채 장기물이 지옥문이 열렸고요.
2번 기사 보시면 이제 바닥이 다 와 가는 것 같다. 9월에는 금리 인하할 것 같다는 전망이 나오고요.

1. 美연준, 대형 은행 SLR 완화…미 국채 금리 인하 기대
美연준, 은행 자본규제 완화…'은행권의 미국채 매입 확대' 기대
미국 연준, 은행 자본규제 완화…‘은행권의 미국채 매입 확대&rsquo기대
JP모건만 1조 달러…빅3 은행들, 美 국채 얼마나 더 살까
"연준 결국 풀었다" &hellip대형은행, SLR 규제 완화로 국채금리 낮추기 나서

오늘 미국 장기채 하락이 저렴한상조 지표 악화에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내렸는지
대형 은행 SLR규제 완화에 반응하는지 모르겠지만
장기채들 하락 추세는 계속되는 모습입니다.

달러가 하락하고 장기채가 하락하고 그래서 시장 분위기가 유동성 확대로 해석하는지
지수 상승이 좋습니다. 미국도 이제 지수가 신고가 돌파입니다.

1. 월가 뒤덮은 ‘7월 위기론’…“시장 왜곡 심화, 알고리즘發 매도 폭발할 수도”
연준 통화정책 낙관에 가격 왜곡/ 자사주 등 과매수, 수급공백 우려
"S&P 5867~5596 밑으로 하락땐/ 40조 매도물량 쏟아질수도" 전망


2. “믿습니까?”…지지부진하던 미국 증시, 하반기 상승 가능성 커졌다는데
엔비디아·MS 신고가 덕에
나스닥 100 지수 전고점 회복/ 올해 3%대 상승 그친 美증시
AI 테마가 지수 호조 이끌며/ 하반기 반등장 시동걸지 촉각


두 기사가 상반됩니다.. 하나는 위기론 하나는 하반기 더 달린다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둘 다 맞을 수 있다는 저렴한상조 생각입니다.

단기로는 쉬어도 쉴 자리가 우리 시장 포함 미국 시장도 나왔다는 생각입니다.
그런데 미국은 이란 휴전에 유동성 확대에 뭐 호재가 많죠.
반도체 실적이 정말 좋고요. 그러니 하반기까지 좋다는 이야기가 무리가 아닐 수 있죠.

반대로

;

어제도 제가 상법 개정 속도론 나오면 큰일이다. 이런 전망했는데
지금 문구에서 생각할 부분이 많나 봅니다..
주주를 전체 주주로 할지 그리고 배임죄에 대한 문제까지 문구 수정할 부분이 많나 봅니다..
저는 시장이 주목할 부분을 잘 반영하느냐? 아니면 협상을 통해서 제대로 된
상법 개정이 아닌 누더기 법안 개정이냐에 따라서 좀 생각할 부분이 많아질 수 있다는 생각이고요. 이게 증시가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성 아닙니까?
그래서 7월에 기업 실적 보자! 숫자가 나와야지!
상법 개정 제대로 하는 거야! 마는거야! 이런 저렴한상조 불확실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전망하고요.

전쟁은 휴전이지만 아직 7월 초반에 트럼프 관세 전쟁이 남았죠.
이것도 문제가 될 수 있겠죠.

1. AI칩서 지주사 재편 기대감까지…하이닉스 끌고 스퀘어가 밀어 [SK 시총 300조 시대]
21개 계열사 합산 시총 308조4000억
하이닉스 주가 이달에만 43% 뛰어
4분기엔 첫 10조대 영업익 전망도/ 중간지주 역할 스퀘어 63% 오르고
SKC·이터닉스 등도 30%대 상승/ 바이오·석유화학 실적부진은 과제


2. D램 설비 투자 앞둔 삼성전자·SK하이닉스&hellip반도체 장비 업계 공급 채비
삼성전자·SK하이닉스, 하반기 D램 설비 투자 본격화
원익IPS·유진테크&middot피에스케이·주성엔지니어링 등 수혜 전망

3. SK하이닉스, 엔비디아 따라 '역대 최고가'…'29만닉스' 마감[핫종목]
'엔비디아 역대 최고가'…SK하이닉스, 2.5% 상승 마감(종합)
‘메모리 풍향계&rsquo마이크론 실적 기대 이상…하이닉스 주가는 30만원 넘봐

4. AI가 이끈 마이크론 호실적…美 반도체 목표가 줄상향

5. 마이크론 깜짝 실적…돌아온 '반도체의 시간'
3분기 저렴한상조 매출 93억弗 전년比 37%↑
HBM 영향에 실적호조 지속 전망/ 브로드컴·AMD도 목표가 줄상향


6. 美에서 증명된 HBM 수요…하이닉스 '웃음', 삼전 '울상'
마이크론 실적으로 HBM 특수 확인
'투심 개선'에 엔비디아도 시총 1위 탈환
SK하이닉스 최대 수혜 전망…신고가 경신
삼성전자 바닥 여전…HBM 가시성 확보 관건


7. AI칩 성장 기대감 재부각에···SK하이닉스 이어 HBM 장비업체로 퍼지는 온기
SK하이닉스 신고가 행진에
한미반도체·한화비전 급등


어제 외국인 현물 매도가 –7000억입니다. 무섭게 팝니다.
이틀 연속 사던 삼성전자를 외국인이 –167만주 매도하고요.
그래도 하이닉스는 삽니다 6거래일 연속 매수입니다.

기사 보시면 뭐 하이닉스 좋다는 소리 삼성전자는 멀었다는 기사 확인 가능하고요.

자 오늘이 문제입니다. 어제 마이크론이 실적 발표 후 7% 급등 후 2% 상승으로 내려왔다고 했고요. 다음 분기 HBM 전망이 부정적인 것 같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마이크론이 저렴한상조 –0.97%, 엔비디아가 0.49% 상승입니다.
반도체가 나쁜 것은 아닙니다. 다 올랐는데 마이크론이 딱 하락하네요.
이게 어라? 하이닉스가 오늘은 쉬나?
어제 딱 하이닉스가 30만원은 봤거던요.
그래서 오늘은 하이닉스가 쉴 수 있다는 것을 전망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 지수가 상승한다면 반도체는 좀 쉬고 수요일, 목요일 급락 했던 종목 위주로
기술적 반등 시도할 수 있을 것 같고요.

외국인이 선물 팔고 현물 팔고 여기에 기관이 같이 현물 파는 형식의 수급 흐름이면
상승 출발은 하지만 유지가 쉬울까? 이런 고민도 하게 됩니다..

주식하는 사람은 늘 모른다로 대응합니다.
투자의 기준으로 삼으시면 안 됩니다.

1. 롯데지주, 1450억 규모 자사주 매각

2. 롯데지주, 자사주 5% 매각…물산에 1450억에 넘겼다
자사주 보유비율 27.5%로 낮춰
"추가 매각·소각도 추진할 것"
정부 '의무 소각' 前 대응 나서


3. "한은, 저렴한상조 연말까지 금리 한차례 내릴 것…인하시기는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