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 QnA | 무빈소장례가 뭔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HELLO 등록일25-04-16 15:40조회3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대부분의 무빈소장례 장례식은 빈소를 설치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빈소를 생략하고 장례를 진행하는 것을 무빈소 장례라고 하는데요.
무빈소 장례를 진행하게 되면 조문객을 받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조문객들의 음식 비용도 절약이 되고,
결국 장례 비용이 줄어들게 되어 비용적인 면 때문에 많이들 찾으시곤 하십니다.
무빈소 장례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시기는 아무래도 무빈소장례 코로나 때인데요.
사람이 많이 모이면 안 되었던 코로나 시기에는 대부분이 무빈소 장례로 진행이 될 정도였어요.
물론 지금도 무빈소 장례로 진행하는 분들이 예전보다 많이 늘었답니다.
또 어떤 상황에서 무빈소 장례를 많이 진행할까요?
무빈소 장례를 진행하는 경우 TOP3
(1) 빈소를 차릴 유가족이 국내에 아무도 없을 때
고인의 모든 가족이 해외에 거주 중인데, 무빈소장례 사연이 있어 국내에 못 들어오시거나 바로 못 오시는 분들이 가끔씩 있습니다.
조금 늦게라도 입국이 가능하다면 장례 일정을 조정할 수 있지만, 오랜 시간은 어려운데요.
이런 경우 어쩔 수 없이 무빈소 장례로 치릅니다.
(2)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빈소를 설치하면 당연히 비용이 듭니다.
빈소를 빌리고, 제단을 꾸미는데 아무리 약소하게 한다고 해도 비용이 무빈소장례 안 들 수는 없는데요.
이처럼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에무빈소와 더불어 1 ~ 2일장으로 진행하곤 합니다.
무빈소 장례는 일반 장례와 달리 입관과 발인만 진행이 되기 때문에 이틀만 진행하는2일장이 가능합니다.
(3) 고인이 무연고자일 때
연고가 확인되지 않는 분들은 빈소를 설치하지 않고 최소한의 장례 절차만을 거칩니다.
고인의 시신을 장례식장 안치실에 잠시 모셨다가 바로 무빈소장례 화장장으로 이동해요.
무연고자의 경우 대부분 지자체에서 무빈소 장레로 지원해주곤 합니다.
무빈소 장례 시 필요한 장례 용품과 필요없는 장례 용품
장례에 필요한 용품도 달라져 이 부분에서도 장례 비용 절감이 가능한데요.
다만 무빈소 장례라고 해서 너무 저렴한 가격이라면 한번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무빈소 장례는 상복, 제단장식, 장례도우미 등의 장례 용품은 필요하지 않지만,
무빈소 무빈소장례 장례여도 필요한 장례 용품들도 있는데요.
바로 수의, 유골함, 고인 용품입니다.
특히 고인을 입관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용품들을 뒤늦게 추가하거나,
고인을 염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 처리 비용까지 추가하는 경우도 있으니
꼭 잘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비용을 절감하고자 무빈소 장례를 선택했는데, 결국 비슷한 비용이 나올 수도 있으니까요.
무빈소 장례의 주의사항
무빈소 장례라고 해서 장례식장이 필요 무빈소장례 없을까요?
그건 아닙니다.
무빈소 장례더라도 장례식장은 빌려야 하는데요.
고인을 모시는 안치실과 입관을 진행하는 입관실을 빌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안치실은 2도에서 4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여 시신의 부패를 막을 수 있는데,
장례식장이 아닌 안치실의 역할이 가능한 곳은 사실상 없습니다.
그리고 입관실은 고인을 깨끗이 정돈하고 단정히 가꾸는 고인 메이크업, 수시 등이 이루어지는 곳인데요.
마찬가지로 결국 무빈소장례 안치실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무빈소 장례라 할 지라도 장례식장 이용이 필수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추가 질문!
무빈소 장례 시 조문은 어떻게 드리나요?
빈소가 없으니 우리가 생각하는 조문을 드릴 수는 없습니다만 입관식과 발인식에서 인사를 드리면 됩니다.
단, 입관식은 대부분 유가족만 참석하는 절차이니 조문객은 발인식 때 참석하시는 게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