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군 작계훈련 1차 불참 후 2차후기/동원1형과 2형/ with 고등동행정복지센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Robin 등록일25-07-08 22:14조회3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근육 동원훈련2형불참 부상은 스포츠에서 가장 흔한 부상 중 하나이며, 엘리트 스포츠 부상의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근 긴장은 노출되는 총 장력total tension이 가장 높은 근육인 hamstring, quadriceps 및 gastrocnemius에서 가장 흔하게 발행한다. 총 장력이란 능동장력과 수동장력의 합을 의미하는데, 이들 근육의 총 장력이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이들은 종종 eccentric contraction을 하며 2형 근섬유의 비율이 높아 다른 근육에 비해 더 큰 능동장력을 생성하기도 하고, 2개 관절에 걸쳐있어 하나 이상의 관절에 걸쳐 수동적 스트레칭을 하는 동안에도 수축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가해지는 수동장력도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근육 긴장은 전통적으로 3단계 시스템을 사용하여 등급을 매겨왔는데, 영상 기기의 발전으로 '새로운'근육 손상 등급 및 분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새로운 근육 긴장 등급 시스템의 공통점은 근육의 힘줄 부위 손상을 동반하는 염좌가 더 나쁜 예후를 보인다는 부분이다. 근육 염좌는 성인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인 musculotendinous junction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Muscle-tendon unit에 대한 전통적인 시각은 [1]muscle belly와 [2]뼈에 수축력을 전달하는 tendon을 구분해서 보는 경향이 있었지만, 영상 및 해부학적 연구를 통해 힘줄이 근육 속 깊은 곳까지 주행하며 일부 근육에서는 근육 내에서도 중앙부를 지나는 central tendinous structure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힘줄 손상의 경우 근골격 접합부 단독 동원훈련2형불참 손상보다 더 긴 회복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었지만, muscle belly 부위의 손상에서도 예상보다 회복 속도가 느린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intramuscular and central tendon의 존재 및 이에 대한 손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급성 근육 염좌 관리의 목표는 선수를 이전 수준의 활동으로 복귀시키고 재부상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험인자들을 관리해야 하는데, 그중 근육 손상 병력은 향후 염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일 최대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그러므로 우리는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손상 부위에 따른 재활과 복귀 타이밍을 고려해야 한다. 다양한 근육 분류법들 중 해부학적 손상 위치에 근거한 British Athletics 분류 (British Athletics Muscle injury classificationBAMIC)를 이용하여 햄스트링을 예시로 살펴보겠다.(Paton et al. 2023)INTRODUCTION햄스트링 부상은 kicking, high-speed running and sprinting이 요구되는 스포츠에서 흔히 발생하며, 훈련 및 경기에 불참하게 되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1-4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일련의 국제 육상 경기를 보면 근육 부상이 전체 부상의 41%를 차지했으며 그 중 햄스트링이 가장 영향을 받는 근육 그룹으로 집계되었다.5근육 부상 진단을 위해 muscle injury classification system이 사용되고 있다.6-8 최근 합의된 뮌헨 muscle classification은 엘리트 축구 선수들에게 적용되긴 하지만,9 10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sturctural and 동원훈련2형불참 functional 요소들을 가지고 있어 활용도가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 리뷰에서는 손상 부위에 기초하여 해부학적으로 정의된 분류 시스템인 British Athletics Muscle Injury Classification (BAMIC)을 소개하려 한다.7either (a) myofascial, (b) muscle– tendon junction (MTJ) or (c) intratendinous and the extent of the injury, graded from 0 to 4 (figure 1).BAMIC는 두 연구에서 상당한 신뢰성을 입증한 바 있다.11 12 후향적 임상연구에서는 여러 분류에 따른 선수들의 완전 복귀시간 (RTFRreturn to full training)이 조직의 유형 및 부상의 범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였다.13 특히 intratendon hamstring injury의 경우 훈련 복귀가 지연되고 재발율이 증가하는 비중 또한 높았다. 햄스트링 부상에 대한 여러 재활 프로그램들이 발표되었지만, intratendon injury가 가지는 예후의 차이나 햄스트링 부위에 따른 작용의 차이를 고려한 프로그램은 없었기에,19-25 이러한 분류를 통한 타입별 재활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근육 치료 가이드라인은 healing phase (acute, subacute and regeneration)와 functioanl rehabilitation progression에 대한 재활을 설명할 뿐이었다.24Noel Pollock et al. 2015In this two-part paper, we (i) review the general principles of hamstring injury rehabilitation in British Athletics, and (ii) we discuss how we apply those principles to the three BAMIC subtypes of 동원훈련2형불참 hamstring injuriesPART 1: GENERAL MANAGEMENT PRINCIPLES OF HAMSTRING INJURY REHABILITATION IN BRITISH ATHLETICSManagement principle 1 Establish an accurate structural diagnosis and injury classificationManagement principle 2 Facilitate the collaborative expertise of the sports science and medicine teamManagement principle 3 Involve the coach and athlete in shared decision-making(나는 머 내가 흥미있는 부분만 옮겨왔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궁금한 부분들은 원문을 참고하시길~)Management principle 4 Train movements and muscles 햄스트링은 세 개의 개별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해부학과 관련된 기능적 역할을 지니고 있다. Sprinting에서 biceps femoris (BF)는 가장 큰 strain을 받고, semitendinosus (ST)는 가장 큰 lengthening velocities를 받는 반면, semimembranosus (SM)는 주로 force producer로써 작용한다.43-45 BF는 sprinting의 acceleration phase와 terminal swing 동안, ST는 sprinting의 maximum-velocity 동안 가장 활성화 되는 반면, SM은 swing and stance에서 힘을 생산하고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44 46 47 따라서, exercise prescription은 이러한 specific functional role들을 발달시키고 부상 후 변화된 공감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타켓해야 한다.48Management principle 5 Prescribe strength exercises to achieve a specific goal 햄스트링 기능의 복잡성은 해부학적 특징과43 high-speed running에서의 역할과 관련하여 잘 알려져 있다.57 Maximal velocity running 동안에는 eccentric muscle 동원훈련2형불참 function이 중요하지만, 다른 환경에서 햄스트링의 적응을 위해서는 또 다른 strength training stimuli, 특히 isometric loading에 대한 요구가 필요할 수도 하다.57 58 우선 햄스트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eccentric and isometric loading의 매커니즘에 대해서 살펴보겠다.1. ECCENTRIC TRAINING Develop high eccentric force Sprinting cycle 동안, 특히 terminal swing phase에서 햄스트링의 eccentric force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는데,59-61 여기서 햄스트링이 힘을 생산하는데 문제가 있거나 비대칭하다면 이는 곧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62-66 높은 eccentric force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은 나이나 과거 부상과 같은 non-modifiable factor들로 인한 상대적인 리스크를 낮춰 줄 수 있다.66 그러므로, eccentric training (fig. 2)은 햄스트링 부상의 재활과 예방에 핵심적이며, sprint를 하는 선수의 컨디셔닝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부분이다.26 62 67-69Figure 2 Eccentric phase of the single leg Romanian dead lift.Increase fascicle length to enhance the length–tension relationship (get long and strong) 햄스트링 부상은 근육을 구조적으로 변화시켜 (fascile shortening) 선수들이 재손상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70-74 이 때 eccentric training이 fascicle length를 증가시키는데,72 이로 인해 non-modifiable risk factor들과 관련된 부상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74 Fascicle length를 증가시키면 최대 토크 각도를 longer muscle length로 이동시켜 부상을 예방할 수 동원훈련2형불참 있다.75-78Nordic hamstring exercise (NHE)는 high-volume eccentric training program으로 eccentric strength와 fascicle lengthening의 향상을 보여준 바 있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일주일에 한 번 2 sets 4 reps로 이루어진 low-volume program에서도 유사한 향상을 보여주었다.72 79-81 이러한 lower training volume은 선수들의 strength program 내에서, 특히 경기 시즌에서 eccentric execise를 포함시키는 것을 덜 부담스럽게 만들어준다. 이는 eccentric loading을 중단하고 2주 후에 나타나는 fascicle length improvement의 detraining effect를 예방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82Nordic hamstring curl2. ISOMETRIC TRAININGDevelop muscle–tendon unit specificitySwing phase의 마지막 단계에서 햄스트링의 contractile element는 상대적으로 isometric하게 유지되며, 힘줄에 의해 muscle-tendon unit이 길어지게 된다.57 59 60 83 근육근막의 isometric condition은 수축성 요소들의 mechanical work을 감소시켜, stretch shortening cycle 동안 힘줄의 spring-like behaviour를 촉진시킨다.84 그러므로 high-load isometric training은 이러한 기능과 관련하여 좀 더 specific stimulus를 제공할 것이다.57 그러나 아직 이러한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증거들이 필요하다. 사실 eccentric loading 또한 muscle-tendon unit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근육근막에서는 isometric condition과 비슷한 양상을 유발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shown in the triceps surae).85 86Develop fatigue resistance 피로는 지속적으로 햄스트링 부상과 관련되어 왔으며3 87 88 neuromuscular function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89-91 햄스트링 re-injury는 strength-endurance 결함이 동원훈련2형불참 있는 축구 선수들에서 더욱 흔하게 나타나며,48 부상당한 근육은 일찍 피로해지면서 활성패턴의 변화를 보였다.92 British Athletics에서 부상을 관찰한 결과 또한 이러한 발견과 일치하였으며, sprint tranining session의 마지막 1/3에서 부상 발생률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피로한 상태에서 햄스트링의 strength training은 햄스트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부상율을 낮출 수 있다.93 94 The Single leg Roman Chair hold (fig. 3)는 Nordic curl보다 더 긴 시간 근육을 수축함으로써 햄스트링의 endurance를 증가시키기에 더욱 효과적이었다.58 Fatigue resistance를 향상시키는 것이 training adaptation의 목적이라면 eccentric loading과 함께 isometric training을 추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Figure 3 Example of isometric exercise: single-leg Roman chair hold.Overcome selective muscle inhibition 햄스트링 부상 이력을 가진 선수는 급성/만성 통증을 보이곤 하는데, 이는 중추신경계에서 maladaptive neural response를 유발할 수 있다.40 부상 후 초기 단계에서 근육의 근전도 활성이 감소하는데, 이는 치유조직에 부하를 줄이는 protective mechanism으로 보여지고 있다.95 특히 eccentric action 동안 햄스트링의 선택적 억제가 더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재활과 근육의 adaptation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96 실제로 부상 후 Nordic curl 동안의 chronic activation deficit은 무릎이 terminal extension에 접근할수록 햄스트링 활성이 감소함을 보였다고 한다.97 Isometric contraction 동안 voluntary muscle activation이 동원훈련2형불참 더 높기 때문에, isometric training은 eccentric condition 동안 inhibitory mechanisms을 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98 Motor unit activation 증가와 관련된 cortical inhibition 감소는 이미 patellar tendon pain 환자들에서 isometric exercise 운동으로 입증된 바 있다.99 100 그러므로 우리는 motor unit 동원을 향상시키기 위해 eccentric loading 수행 전에, 특히 통증과 장애가 큰 부상의 경우, high-load isometrics 운동을 권장하는 바이다.Management principle 6 Apply a multivariate model and target contributing factors to injury riskDig deeperBrukner, P., Clarsen, B., Khan, K., Hutchinson, M., Cools, A., Cook, J., Crossley, K., McCrory, P., Bahr, R. (2017). Brukner and Khans Clinical Sports Medicine Injuries, Volume 1. United Kingdom: McGraw-Hill Education.Macdonald, B., McAleer, S., Kelly, S., Chakraverty, R., Johnston, M., &Pollock, N. (2019). Hamstring rehabilitation in elite track and field athletes: applying the British Athletics Muscle Injury Classification in clinical practice.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3(23), 1464-1473.Paton, B. M., Giakoumis, M., Head, P., Kayani, B., Kelly, S., Kerkhoffs, G. M., ... &Haddad, F. (2023). London International Consensus and Delphi study on hamstring injuries part 1: classification. British journal of 동원훈련2형불참 sports medicine, 57(5), 254-265.